
작년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한 트레이드에도 불구하고, 메츠의 유망주 시스템은 여전히 탄탄합니다. 이는 드래프트에서의 지속적인 성공(최근 몇 년간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실패가 있었음에도)에 기인합니다. 국제 스카우팅 부서도 여전히 매우 생산적입니다. 다만 최근 영입한 잠재적 슈퍼스타로 평가받는 엘리안 페냐는 이 순위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https://www.nytimes.com/athletic/6095658/2025/02/06/mets-2025-top-20-prospects-keith-law/
(참고: 툴 등급은 20-80 스카우팅 척도로 평가됨; 나이는 2025년 7월 1일 기준)
1. 브랜든 스프로트, 우완투수 (톱 100 순위 30위)
신장: 6-3 | 체중: 215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24
메츠는 스프로트를 너무나 원했기에 두 번이나 지명했습니다. 그는 2022년에는 사인을 거부하고 플로리다로 돌아가 드래프트 가치를 높이기로 했고, 실제로 성공했습니다. 2023년에는 한 라운드 더 높은 순위로 지명되어 약 50만 달러를 더 받았습니다. 첫 프로 시즌에서 트리플 A까지 올라갔고, 하이 A와 더블 A에서는 5가지 구종으로 타자들을 압도했습니다. 트리플 A 시러큐스로 승격될 당시 시즌 평균자책 2.05, 87.2이닝 동안 110탈삼진 31볼넷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트리플 A에서의 7번의 선발등판에서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28이닝 동안 36안타(7홈런 포함)를 허용했는데, 이는 그의 불안정한 제구력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벨트 높이의 패스트볼이 너무 많았고, 경험 많은 타자들이 그의 변화구를 더 잘 읽어냈습니다.
그는 주로 시속 96-97마일(최고 99-100마일)의 포심 패스트볼을 구사하며, 그의 최고 구종은 상황에 따라 평균 이상에서 플러스 등급을 받는 슬라이더입니다. 또한 괜찮은 체인지업과 커브, 투심 패스트볼도 던집니다. 그는 매우 공격적인 투구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 정확한 제구를 위해 템포를 늦추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리 좋은 구종이라도 타자가 치기 좋은 위치에 던진다면 맞아나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메이저리그 진입을 위해서는 약간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는 에드윈 잭슨과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잭슨은 뛰어난 구위를 가진 투수였지만 커리어 대부분을 4선발 수준으로 보냈습니다. 다만 스프로트는 같은 나이의 잭슨보다 더 나은 제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제트 윌리엄스, 유격수 (톱 100 순위 61위)
윌리엄스는 2023년 돌파구를 마련했지만, 지난 시즌 4월 부진한 출발 중 오른쪽 손목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고, 결국 수술을 받아 재활 기간을 포함해 정확히 4개월을 놓쳤습니다. 총 30경기만 뛸 수 있었습니다. 트리플 A에서 보낸 6경기 시리즈를 제외하고는 어디서도 좋은 타격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여전히 많은 볼넷을 얻어냈지만, 컨택 시 임팩트가 부족했는데 이는 손목 부상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 추가 타석을 확보하기 위해 가을리그에 참가했고, 거기서 유격수로서는 45 수준의 수비를 보여줬으며, 주루는 플러스급이 아닌 평균 수준에 가까웠습니다. 프란시스코 린도어가 메츠의 유격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2루수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컴팩트한 스윙과 볼-스트라이크 판단력이 좋아, 55-60 수준의 수비력을 갖춘 높은 타율/출루율의 2루수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그를 평균 이상의 주전급 선수로 만들기에 충분합니다. 2024시즌은 그에게 잃어버린 한 해였고, 그 타석들을 되찾을 순 없지만, 100% 컨디션이 아닌 상태에서의 성적은 무시해도 될 것 같습니다.
3. 로니 마우리시오, 내야수 (톱 100 순위 91위)
신장: 6-3 | 체중: 166 | 타석: 스위치 | 투구: 우 | 나이: 24
마우리시오는 윈터리그에서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어 2024년을 모두 놓쳤고, 재활 중 약간의 차질이 있어 복귀가 더 지연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정규시즌 개막에 맞춰 복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상 전에는 메츠의 최고 유망주였으며, 손목에서 나오는 폭발적인 파워로 70등급의 장타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메이저리그 데뷔 때는 최고 타구 속도가 시속 117마일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타석에서 너무 공격적이어서, 스트라이크 존 밖의 변화구를 쫓는 비율이 메이저리그 주전으로서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수준입니다. 이것이 1년 이상의 타석 기회 상실이 그에게 치명적이었던 이유입니다. 그는 볼-스트라이크와 구종 인식 능력을 개선해야 하는데, 이는 실전을 통해 가장 잘 향상됩니다. 그는 알폰소 소리아노를 많이 연상시킵니다. 소리아노도 비슷하게 폭발적인 손목 스냅을 가졌고, 유격수 자리는 맞지 않았으며, 타석에서 "인내심 있는" 타자와는 거리가 멀었지만, 접근 방식을 충분히 개선하여 412홈런을 치고 16년간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했습니다. 이것이 마우리시오의 최상의 시나리오이며, 부상 이후에는 더욱 달성하기 어려워졌을 것입니다. 그의 복귀 후 어떤 공을 (혹은 어떤 공을 안) 치는지, 수비에서는 어떻게 움직이는지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4. 놀란 맥린, 우완투수
신장: 6-2 | 체중: 214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23
맥린은 오클라호마 주립대에서 외야수/마무리투수로 활약했고 2022년 3라운드에서 오리올스에 지명되었습니다. 하지만 오리올스는 지명 후 신체검사에서 뭔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계약을 포기했습니다. 대신 그 보너스 풀 금액을 카터 영(23세의 하이 A에서 타율 .208/.276/.322를 기록)에게 투자했습니다. 맥린은 다시 대학으로 돌아갔고 1년 후 메츠가 역시 3라운드에서 그를 지명했습니다. 메츠는 그를 선발투수로 전환하기로 결정했고, 지금까지 결과는 유망합니다. 그는 강력한 슬라이더, 플러스급 체인지업, 그리고 라이드 무브먼트가 있는 시속 94-96마일의 패스트볼을 포함한 4개의 구종을 던질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이는 에이스급 선발의 구위지만, 실제 결과는 4선발 수준이었습니다. 하이 A에서는 32%의 탈삼진율을 기록했지만, 시즌 대부분을 보낸 더블 A에서는 22.8%로 떨어졌고, 81.2이닝 동안 10개의 홈런을 허용하며 평균자책점 4.19를 기록했습니다.
이런 구위를 가지고도 더 많은 삼진을 잡아내지 못하는 것은 이상합니다. 일부는 제구 문제입니다. 스트라이크 존 안에서의 위치 선정이 좋지 않고 볼이 되는 투구는 한참 벗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경험 부족 탓일 수 있습니다. 2021-23년 동안 총 60이닝밖에 던지지 않았고, 더 많은 시간을 타자로 보냈습니다. 타자로서의 경력은 이제 끝났고, 이는 올바른 결정입니다. 80등급의 로파워를 가지고 있지만 30등급의 타격 능력으로 더블 A에서 69타석 동안 36삼진을 기록했습니다(퍼센티지를 계산하면 너무 끔찍해서 적지 않겠습니다). 이는 2025년이 그에게 중요한 해가 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처음으로 전업 투수로서 뛰는 해이자, 선발투수로서의 두 번째 시즌이 될 것입니다. 시스템 내에서 가장 좋은 구위를 가진 선발이고, 이제 메츠는 그의 나머지 게임을 완성시켜야 합니다.
5. 카슨 벤지, 외야수
신장: 6-1 | 체중: 184 | 타석: 좌 | 투구: 우 | 나이: 22
벤지는 메츠의 2024년 1라운드 지명 선수로, 맥린처럼 투타 겸업 선수였지만 그의 미래는 타자에 있습니다. 훌륭한 운동능력과 타격감을 가진 선수지만, 그의 스윙은 손목에 의존적이고 상대적으로 평평해서 대학에서는 더 많이 정타를 치는 타자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장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 뛰어난 배트 스피드를 보유하고 있고 강한 타구를 만들어내고 있어서, 메츠가 그의 타구 각도를 높이고 체력을 보강할 수 있다면 시즌 20홈런 이상을 칠 수 있을 것입니다. 60등급의 강한 어깨를 가진 플러스급 우익수 수비수입니다. 지난 봄 오클라호마 주립대에서 37이닝을 던져 좋은 결과를 냈지만, 불펜 투수 정도의 잠재력이며 이미 토미 존 수술을 받은 이력이 있습니다. 만약 그가 더 많은 타구를 갭이나 펜스 너머로 보내기 시작한다면 1년 안에 쉽게 톱 100 유망주가 될 수 있으며, 4-5 WAR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6. 보스턴 바로, 유격수
신장: 6-0 | 체중: 170 | 타석: 좌 | 투구: 우 | 나이: 20
바로는 여전히 체력 보강이 필요하지만, 프로 첫 시즌에서 뛰어난 운동능력을 보여주었고 2023년 8라운드 지명 당시 스카우트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야구 기술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이미 평균 이상에서 플러스급의 어깨를 가진 탁월한 수비수입니다. 10대 선수로서는 매우 발전된 구종 인식과 볼-스트라이크 판단력을 보여주었는데, 로우 A에서 19.9%의 낮은 헛스윙률과 24.8%의 낮은 체이스율을 기록했습니다. 바로는 체력만 보강된다면 1년 안에 시스템 내 최고의 유망주가 될 수 있는 기초를 갖추고 있습니다.
7. 헤수스 바에스, 유격수
신장: 5-10 | 체중: 180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20
바에스는 공격적인 타자로 강한 컨택을 만들어냅니다. 로우 A에서 최고 타구 속도 109.8마일, 90번째 백분위 타구 속도 104.7마일을 기록했지만, 뛰어난 눈-손 협응력으로 많은 공을 쳐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공을 공략합니다. 38%의 높은 체이스율로 볼 때 많은 삼진이 예상되지만, 시즌 삼진율은 18.1%에 불과했습니다. 그는 '먼저 치고 나중에 생각하는' 스타일의 타자입니다. 나이에 비해 강한 체력과 함께 뛰어난 배트 스피드를 보유하고 있지만, 체격이 이미 두꺼워져서 유격수에서 3루수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타구 데이터를 보면 장차 파워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며, 홈런 25-30개와 .270-280의 타율을 기록할 수 있는 평균 이상의 3루수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많은 볼넷을 얻지는 못할 것 같아 출루율은 평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8. 조나 통, 우완투수
신장: 6-1 | 체중: 180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22
통은 속도에 비해 훨씬 더 효과적인 패스트볼을 던집니다. 시속 91-94마일의 "인비저볼"로, 스트라이크 존 상단에서 많은 라이드 무브먼트로 인해 많은 헛스윙을 유도합니다. 그는 오버핸드 투구 폼을 사용하는데, 이는 어깨에 좋지 않고 좌우로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선발투수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자세입니다. 이는 통에게도 해당되어, 그는 매우 상하 위주의 투구를 하며 스트라이크 존의 좌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합니다. 공격적으로 타자를 공략하지만, 투구 폼으로 인해 45등급의 제구력과 컨트롤에 제한이 있어 지난해 하이 A와 더블 A에서 10.5%의 볼넷률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변화구로 12-6 커브를 던지며, 시즌이 진행될수록 더 많이 던진 크게 향상된 체인지업은 최소 55등급이고, 네 번째 구종으로 슬라이더/커터를 가끔 던집니다. 그는 현재 실력이 정점에 도달한 것 같고 투구 폼에 이미 노력이 많이 들어가 있어, 불펜투수가 될 가능성이 선발투수보다 높지만, 선발투수로서의 구종은 갖추고 있어 불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될 때까지는 선발로 개발을 계속해야 합니다.
9. 라이언 클리포드, 1루수/외야수
신장: 6-2 | 체중: 200 | 타석: 좌 | 투구: 좌 | 나이: 21
클리포드는 하이-A 브루클린에서 컨택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216/.412/.304의 특이한 성적과 31.6%의 높은 삼진율을 기록했습니다. 그럼에도 메츠는 한 달 만에 그를 승격시켰고, 더블 A에서는 훨씬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타율 .231/.359/.457과 28.9%의 삼진율을 기록했는데, 여전히 높은 삼진율이지만 더 수준 높은 투수들을 상대로 오히려 감소했다는 점이 고무적입니다. 그는 여전히 가능한 모든 공을 끌어당겨 공중으로 보내려고 하는데, 이는 그러한 접근이 적합한 공에 대해서는 괜찮지만, 투수들은 일반적으로 타자의 바람대로 던지지 않으며 클리포드는 이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훌륭한 배트 스피드에도 불구하고 모든 구종에 대해 여전히 너무 많은 헛스윙을 하고 있습니다. 좌익수에서는 적절한 수비를, 1루에서는 그 이상의 수비를 보여줍니다. 그는 결국 메이저리그에 올라갈 것이지만, 올-오어-낫씽 타입의 선수입니다. 90%의 확률로는 메이저리그에 적응하지 못하고 정착하지 못할 것이지만, 나머지 10%의 확률로는 접근 방식을 충분히 조정하여 30홈런의 파워를 발휘하고 임팩트 있는 타자가 될 수 있습니다.
10. 루이상헬 아쿠냐, 내야수
신장: 5-8 | 체중: 181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23
아쿠냐는 지난해 트리플 A에서 부진했는데, 좋은 컨택을 만들어내지 못했고 메이저리그에서 기록한 일부 강한 타구 데이터만이 그나마 위안으로 남아있습니다. 그는 2루에서 플러스급 수비와 주루를 보여주는 선수이지만 이미 체격적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보이며, 트리플 A에서 35.8%의 낮은 강한 타구율은 메이저리그에서 높은 타율을 기록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컨택 능력은 있지만, 파워나 인내심의 부족으로 인해 이제는 유틸리티 선수 정도의 실링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11. 드류 길버트, 외야수
신장: 5-8 | 체중: 195 | 타석: 좌 | 투구: 좌 | 나이: 24
길버트는 플래툰 외야수로, 그의 수비는 중견수에서 평균 수준으로 떨어졌고 로스터에 남으려면 우익수로 전향해야 할 것 같습니다. 2024년 전반기를 햄스트링 부상으로 놓쳤고 복귀 후에도 어려움을 겪었는데, 특히 좌완 투수를 상대로 고전했으며 애리조나 가을리그에서도 여전히 좋은 구위에 압도당했습니다. 체격이 크지 않고 더 많은 파워를 얻을 것으로 기대되지 않아, 왼손 투수에 대한 대응책을 빨리 찾지 못한다면 기껏해야 벤치 선수가 될 것입니다.
12. 다이버슨 구티에레스, 포수
신장: 5-11 | 체중: 206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19
구티에레스는 2023년 도미니칸 서머리그에서의 부진한 성적을 딛고 지난해 세 단계를 거쳐 로우 A까지 올라갔습니다. 그는 플러스급 어깨를 가진 평균 수준의 수비 포수이며, 기록이 암시하는 것과 달리 현재는 타격보다 파워 면에서 더 앞서 있어 시즌 20홈런 이상의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더 많은 컨택을 위해 스윙을 짧게 조정하는 법을 배웠고, 이제는 어떤 공을 공략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스윙 결정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그는 아직 프로 통산 343타석밖에 기록하지 않은 매우 경험이 부족한 선수이지만, 주전급 이상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3. 닉 모라비토, 외야수
신장: 5-10 | 체중: 185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22
모라비토는 계속해서 타격 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로우 A에서 24경기 동안 투수들을 압도한 후 하이 A에서 .294/.373/.374를 기록했고, 중견수에서도 여전히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파워의 부족으로 인해 천장은 제한적이지만 최소한 4번째 외야수 수준은 됩니다. 지난해 73번의 도루 시도에서 58개를 성공시킨 최소 70등급의 주자이며, 45등급의 어깨를 제외하면 중견수에서 최소 평균 이상의 수비를 보여줍니다. 큰 스윙을 할 수는 있지만 타구가 그만큼 강하지 않아 주전이 되기 위해서는 체력을 보강해야 합니다. 우투수를 상대로 충분히 잘 치기 때문에 단순한 플래툰 선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주전으로 가는 길도 있습니다. 가장 안전한 전망은 중견수와 좌익수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강력한 백업 외야수입니다.
14. 블레이드 티드웰, 우완투수
신장: 6-4 | 체중: 207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24
티드웰은 이제 불펜으로 전향해야 하며, 그렇게 된다면 올해 메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그는 너무 많은 구종을 던지고 있습니다. 스탯캐스트 기준으로 7개의 서로 다른 구종(포심과 싱커, 슬라이더와 스위퍼 포함)을 구사하는데, 이는 누구에게나 많은 수이며 관대하게 봐도 45등급의 제구력을 가진 투수에게는 특히 그렇습니다. 트리플 A에서는 고전했는데, 85이닝 동안 17개의 홈런을 허용하며 평균자책점 5.93을 기록했습니다. 제구력이 문제였는데, 모든 구종에서 홈런이 나왔지만 대부분은 스트라이크 존 한가운데에 놓은 공들이었습니다. 그를 포심 패스트볼, 체인지업, 그리고 슬라이더나 스위퍼 중 하나만 던지게 하고 지금 당장 7회를 맡기는 것이 좋겠습니다.
15. 조나단 산투치, 좌완투수
신장: 6-2 | 체중: 205 | 타석: 좌 | 투구: 좌 | 나이: 22
산투치는 플러스급 슬라이더, 55등급의 체인지업, 그리고 최소한 평균 이상의 구속을 가진 좌완투수이지만, 평균 이하의 제구로 인해 지난 봄 듀크 대학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습니다. 이로 인해 메츠는 1라운드급 구위를 가진 그를 2라운드 지명으로 영입할 수 있었습니다. 2023시즌은 나사못을 박아야 했던 팔꿈치뼈 골절로 조기 종료되어, 당분간 내구성에 대한 의문이 있을 것입니다. 선발투수급 구위를 가지고 있고 드래프트 전부터 제구력 향상을 위해 투구 폼을 수정하려 했습니다. 팔꿈치가 견딜 수 있다면 중간 선발급의 잠재력이 있습니다.

16. 마르코 바르가스, 유격수
신장: 5-11 | 체중: 170 | 타석: 좌 | 투구: 우 | 나이: 20
바르가스는 2024년에 손목 건염이 지속되어 130타석만 소화했고 .208/.363/.238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시즌 동안 4번이나 부상자 명단에 올랐습니다. 2023년 데이비드 로버트슨 트레이드로 마이애미에서 영입된 바르가스는 자신의 툴을 최대한 활용하는 영리한 야구 선수로, 좋은 접근법과 타격감을 가지고 있지만 건강할 때도 파워는 제한적입니다. 현재 유격수에서 50등급의 수비수이지만 체격이 커지면서 2루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곳에서는 55등급 이상의 수비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2024시즌은 그의 공격 능력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그는 아마도 좋은 유틸리티 선수가 될 것이지만, 충분한 컨택 능력으로 2루수 주전이 될 수도 있습니다.
17. 네이트 돔, 우완투수
신장: 6-4 | 체중: 210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22
돔은 투구 폼에서 큰 익스텐션과 시속 92-95마일 패스트볼의 좋은 구질로 매트릭스 분석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는 날카로운 다운워드 브레이크가 있는 플러스급 슬라이더를 포함한 4개의 구종을 구사합니다. 하지만 지난 봄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팔꿈치 부상으로 2개월 이상을 놓쳤고, 미시시피 주립대에서의 2년 동안 각각 42이닝과 29이닝만을 던져 선발투수로서의 구위와 폼을 가지고 있음에도 이 역할에서의 내구성 이력이 없습니다. 일단은 선발로 시작해 이닝이나 투구 수에 엄격한 제한을 두고 가능성을 시험해봐야 하며, 선발이 안 된다면 불펜에서 높은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18. 에드워드 란티구아, 외야수
신장: 6-1 | 체중: 174 | 타석: 우 | 투구: 우 | 나이: 18
란티구아는 2024년 1월 메츠와 95만 달러에 계약했습니다. 지난 여름 도미니칸 서머리그에서 괜찮은 데뷔 시즌을 보냈는데, .263/.397/.395의 성적을 기록했지만 189타석에서 14개의 사구로 출루율이 부풀려졌습니다. 그는 평균적인 주력에도 불구하고 이미 70등급에 달할 수 있는 플러스급 중견수 수비를 보여주고 있으며, 데뷔 시즌에 단 1개의 홈런만 기록했음에도 10대 선수로서는 인상적인 잠재적 파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장 긍정적인 전망으로는 중견수에서 최고 수준의 수비와 함께 시즌 25홈런을 기록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19. 일라이 세라노 3세, 외야수
신장: 6-5 | 체중: 201 | 타석: 좌 | 투구: 좌 | 나이: 22
지난 7월 메츠의 4라운드 지명을 받은 세라노는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에서 2학년 드래프트 자격으로 .285/.380/.431의 성적과 함께 12.7%의 낮은 삼진율을 기록했으며, 예상보다 더 좋은 타구 데이터를 보여주었습니다. 짧은 프로 데뷔 시즌에서 로우 A에 배치되었고 49%의 강타구율을 기록하며 더 많은 파워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이미 훌륭한 스윙과 좋은 스윙 판단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중견수지만 장기적으로는 코너 외야수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성적으로 전환하기 전까지는 너무 흥분하지 말아야 합니다. 하지만 약간의 기대는 해도 좋습니다.
20. 로날드 에르난데스, 포수
신장: 5-11 | 체중: 155 | 타석: 스위치 | 투구: 우 | 나이: 21
로버트슨 트레이드로 말린스에서 함께 영입된 에르난데스는 평균 이하의 수비력으로 포수 자리를 지키지 못할 수 있지만, 타석에서 뛰어난 접근법을 보여주어 수비만 개선된다면 주전급 잠재력이 있습니다. 로우 A에서 최고 타구 속도 109.6마일을 기록하는 등 파워 잠재력이 있지만, 아직은 많은 장타로 이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포수 자리에서는 민첩성이나 운동능력이 부족하고 45등급의 어깨를 가지고 있어 이 포지션을 지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그의 장점으로는 이중 언어 구사 능력과 강한 워크에식이 있어 어느 정도 기대를 해볼 수 있습니다. 메이저리그에 올라간다면 수비보다는 출루 능력으로 인정받는 백업 포수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주목할 만한 기타 선수들
콜린 후크는 2023년 메츠의 첫 지명(32순위)이었지만, 그 이후로는 완전한 실패작이었습니다. 로우 A에서 .206/.304/.306의 성적과 36.3%의 삼진율을 기록했습니다. 아마추어 시절 보여줬던 파워조차 나타나지 않았고, 확실히 유격수는 아니어서 지난해 경기의 약 40%를 3루수로 소화했습니다. 지난 9월에 겨우 20세가 되었기 때문에 아직 포기하고 싶지는 않지만, 지금까지의 프로 성적에서는 어떤 관점에서 보더라도 긍정적인 면을 찾기 어렵습니다.
우완투수 도미닉 하멜은 트리플 A에서 최악의 시즌을 보냈는데, 아마도 다른 공인구와 자동 볼-스트라이크 시스템(ABS)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습니다. 저속 90마일대 패스트볼에서 여전히 좋은 라이드 무브먼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를 다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중간 계투나 롱릴리프 역할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내야수 제이콥 라이머는 햄스트링 부상으로 거의 전 시즌을 놓쳤습니다. 그는 일부 장타력과 함께 타율을 높일 수 있는 선수이지만 체격이 커지면서 3루가 아닌 1루가 될 수 있습니다.
내야수 AJ 유잉은 19세의 나이로 로우 A 데뷔 시즌에서 고전했고, 아마도 하위 레벨 경험이 더 필요했을 것입니다. 어느 정도의 괜찮은 컨택을 보여주었지만 29%의 삼진율을 기록했습니다. 평범한 주루 능력을 가졌고 아마도 2루수로 전향할 것이기 때문에 타격이 반드시 향상되어야 합니다. 그는 충분히 어리기 때문에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2025년 빅리그에서 볼 선수들
스프로트는 메이저리그 로테이션의 건강 상태에 따라 후반기에 데뷔할 수 있습니다. 마우리시오는 아마도 트리플 A에서 시작하여 경기감각을 되찾은 후 역시 후반기에 메이저리그로 복귀할 것입니다. 아쿠냐는 제프 맥닐이 2년 연속 평균 이하의 성적을 보이고 있어 2루수 주전이 될 수 있습니다.
추락한 선수
케빈 파라다는 2022년 메츠의 첫 지명이었으며, 제트 윌리엄스보다 4순위 앞에서 지명되었습니다. 조지아 테크에서 타격에서 큰 활약을 보였고 수비보다는 타격에 대한 의문점이 더 많았습니다. 그는 마이너리그에서 한 번도 제대로 타격을 하지 못했고, 더블 A에서 .214/.304/.359를 기록했습니다.
기대주
바로는 이러한 평가를 받기에는 1년 빠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가 "성인의 체력"을 갖추게 되면 엄청난 유망주가 될 것입니다.
'메트로폴리탄 > 메츠 유망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로트-젯윌, 팬그래프 유망주 TOP 100 선정 (0) | 2025.02.18 |
---|---|
스프로트, 올시즌 메츠 빅리그 최고 임팩트 선수 될 것 (0) | 2025.02.18 |
브랜든 스프로트, 라이브 배팅서 강렬한 인상 (0) | 2025.02.14 |
Sammon: "스프로트-젯윌, 2025년 빅리그 데뷔 예상" (1) | 2025.02.08 |
브랜든 스프로트, 보우덴 선정 신인왕 후보 21위 (0) | 2025.02.05 |
카슨 벤지·라이언 클리포드, MLB 파이프라인 톱100 아깝게 탈락 (0) | 2025.02.05 |
메츠, ESPN 팜 시스템 랭킹 9위로 점프 (0) | 2025.02.01 |
ESPN 유망주 101~200위에 메츠 선수 7명 포함 (0) | 2025.02.01 |